미국 CPI 영향 속 금값 소폭 반등…연준 발언·추가 지표 주목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미국 CPI 영향 속 금값 소폭 반등…연준 발언·추가 지표 주목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8-13 18:00 233 0

본문

미국 CPI 영향 속 금값 소폭 반등…연준 발언·추가 지표 주목



CPI 발표 후 달러 약세, 금값에 순풍
국제 금값(XAU/USD)이 1주 반 만의 저점에서 반등하며

수요일 아시아 세션에서 소폭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전일 발표된 7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준(Fed)의 9월 금리 인하 기대를 높이면서

달러화가 약세를 보였고, 이는 수익을 창출하지 않는 금에 매수세를 유입시키는 요인이 됐습니다.

특히 CME FedWatch Tool 기준, 9월 금리 인하 확률은 하루 만에 86%에서 94%로 급등하며

연내 두 차례 이상의 인하 가능성도 시장에 반영되고 있습니다.



시장 낙관론, 금의 상승폭 제한
다만 상승 모멘텀은 제한적입니다. 미·중 무역 휴전 연장과 미·러 정상회담 기대감이 투자 심리를 개선하며

안전자산 수요를 줄였기 때문입니다. 금은 최근 3,400달러 선 돌파에 연이어 실패했고,

S&P 500·나스닥 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일본 닛케이225 지수도 처음으로 43,000선을 돌파하는 등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돼 금 매수세를 제약하고 있습니다.



연준 발언·향후 지표가 관건
시장의 관심은 이날 후반 예정된 연준 위원 발언으로 향하고 있습니다.

FOMC 인사들의 통화정책 시각에 따라 단기 금리 전망이 재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어 목요일에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PPI), 금요일에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가 발표됩니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면 금리 인하 기대가 강화돼 금값 상승세를 지지할 수 있으나,

반대로 높은 수치가 나올 경우 조정 압력이 커질 수 있습니다.



기술적 분석: $3,358 돌파 여부 주목
기술적으로 금값은 $3,243~$3,242 구간(H4 기준 200SMA)을 주요 지지선으로 두고 있습니다.

이 선이 붕괴되면 $3,300, 이어 $3,243선까지 하락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3,358~$3,360 저항선을 상향 돌파할 경우 $3,380, $3,400 재도전이 가능하며,

이후 $3,409~$3,410 돌파 시 $3,422~$3,423, 나아가 $3,434~$3,435와 3,500달러

심리적 고지까지 시야가 열릴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22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3
메타가이드
2025-08-12
메타가이드
2025-08-12
메타가이드
2025-08-12
메타가이드
2025-08-12
메타가이드
2025-08-12
메타가이드
2025-08-12
메타가이드
2025-08-12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