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 상승세 멈추고 하락…긍정적 증시 분위기와 달러 반등 영향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금값, 상승세 멈추고 하락…긍정적 증시 분위기와 달러 반등 영향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8-06 16:03 341 0

본문




금값, 상승세 멈추고 하락…긍정적 증시 분위기와 달러 반등 영향

최근 4일 연속 상승 흐름을 보이던 XAU/USD는 수요일 아시아 시장에서 소폭 하락하며 상승세를 멈췄습니다. 전날 기록한 3,390달러 수준은 거의 2주 만에 최고치로, 단기 고점으로 작용한 모습입니다.
이날 하락은 아시아 증시 전반의 상승세와 함께 위험 선호 심리가 회복되며, 전통적인 안전자산인 금의 매력을 다소 낮춘 결과로 해석됩니다.
또한 미국 달러의 반등 역시 금값을 약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흐름에서 보았을 때, 하락폭은 제한적인 범위에 머물고 있어 당장의 추세 전환보다는 숨 고르기에 가깝다는 평가입니다.



연준의 통화정책 기대, 금 수요 여전히 유효

시장의 관심은 여전히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정책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지난주 발표된 미국 비농업 고용지표와 이번 주 초 공개된 ISM 서비스업 PMI가 예상보다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미국 경제의 둔화 우려를 부각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시장은 9월 정책회의에서 연준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더욱 강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두 차례 이상의 추가 인하 가능성까지 점쳐지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은 달러화 약세와 상품시장 강세를 동시에 자극하는데, XAU/USD에도 긍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은 이자 수익이 없는 비수익성 자산이지만, 금리가 낮아질수록 상대적 매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중장기적인 상승 동력이 유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무역정책 변수, 원자재 시장 전반에 부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무역정책은 여전히 원자재 시장의 불안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는 최근 반도체와 의약품 수입에 대해 새로운 고율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을 언급했으며, 이미 철강, 자동차 등 다양한 품목에 대한 관세 조치가 시행 중입니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를 자극하며 금을 포함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를 일시적으로 확대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특히 XAU/USD의 경우 지정학적 리스크와 정책 불확실성이 결합될 때 강한 상승 모멘텀을 형성해왔던 전례가 많기 때문에,
이번 관세 이슈가 확대된다면 금값에도 일정 부분 긍정적인 흐름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기술적 흐름, 지지선 테스트와 반등 기대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XAU/USD는 4시간 차트 기준으로 100일 단순이동평균선(SMA)인 3,350달러 부근에서 지지를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는 과거에도 강한 매수세가 유입된 지점으로, 이번에도 동일한 흐름이 재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이 가격대가 무너지지 않는다면, 다시 한 번 3,400달러 선을 돌파하려는 시도가 나올 수 있습니다.

상방으로는 3,434~3,435달러 구간이 강한 저항선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 선을 넘는다면 4월 고점인 3,500달러 재돌파 시나리오도 가능합니다.
반대로 하락 시에는 3,322달러, 이후 3,268달러가 순차적 지지선 역할을 할 전망입니다.



실물 지표 부재 속 FOMC 발언에 쏠리는 시선

이번 주 남은 일정에서는 주목할 만한 미국 경제 지표 발표가 없는 만큼, 투자자들의 시선은 FOMC 위원들의 발언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수전 콜린스, 리사 쿡, 메리 데일리 등 주요 인사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으며,
이들이 금리 인하에 대해 더욱 확실한 메시지를 던질 경우 금값은 다시 강세 전환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를 앞두고 있는 만큼, 그 결과를 선반영하려는 포지셔닝 움직임도 있을 수 있습니다.
시장 참여자들은 XAU/USD가 당분간 제한적 박스권 흐름을 보이면서, 다음 촉매를 기다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위험 심리의 균형 속에서 엇갈리는 전망

현재 금 시장은 위험 선호 심리와 안전 자산 선호 심리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 상태입니다.
증시의 반등과 함께 XAU/USD가 일시적 약세를 보이고는 있지만, 근본적인 하락 전환으로 보기에는 이르다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금리는 낮아질 가능성이 크고, 물가 상승 우려도 여전하며, 지정학적 불확실성 역시 지속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환경에서는 하락 시마다 매수 기회로 활용하려는 전략이 유효할 수 있으며,
기술적 지지선이 무너지지 않는 한 중장기적 강세 시나리오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따라서 현재의 조정은 트레이더들에게는 다음 상승 구간 진입을 위한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24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8
449
메타가이드
2025-08-08
314
메타가이드
2025-08-08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