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CAD, 원유 반등과 달러 약세에 눌려…방향성 모색 중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USD/CAD, 원유 반등과 달러 약세에 눌려…방향성 모색 중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8-06 16:00 270 0

본문

USD/CAD, 원유 반등과 달러 약세에 눌려…방향성 모색 중

수요일 아시아 외환시장에서 USD/CAD는 1.3765 수준에서 거래되며 하루 동안 약 0.05% 하락세를 나타냈습니다.
현재 환율은 명확한 방향을 찾지 못한 채 방어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여러 경제적 변수들이 동시에 작용하는 중입니다.
특히 미국 달러 약세와 원유 가격 반등, 그리고 지정학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져 USD/CAD의 단기 흐름은 불확실성을 동반하고 있습니다.

최근 환율은 고점에서 하락 반전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하락세에 대한 확신은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원유 가격 반등, 캐나다 달러 지지 요인으로 작용

USD/CAD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원유 가격의 흐름입니다.
캐나다는 원유 수출 비중이 높은 국가이기 때문에 원유 강세는 캐나다 달러에 긍정적으로 작용합니다.
화요일, 국제 유가가 6월 말 이후 최저치에서 반등한 것은 캐나다 달러 강세를 뒷받침하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USD/CAD에 하방 압력을 가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 1.3750 부근의 지지선 테스트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습니다.
다만 원유 시장의 변동성이 큰 만큼, 이 요인이 지속적인 환율 흐름으로 이어질지는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미국 달러 약세, 연준 금리 정책 기대가 중심

미국 달러는 최근 들어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USD/CAD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은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90% 이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연말까지 총 60bp 수준의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국 달러는 주요 통화 대비 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고,
특히 금리에 민감한 캐나다 달러와의 교차 환율인 USD/CAD에는 하방 압력이 더욱 뚜렷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변수, CAD 상승 제한 요소로 부각

USD/CAD의 하락이 명확하게 이어지지 못하는 배경에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35%로 인상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한 것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조치는 캐나다의 수출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국내 경제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졌습니다.
결과적으로 캐나다 달러 강세가 제한되며, USD/CAD 환율 하락세를 둔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기술적 흐름, 추가 하락 전 신중한 확인 필요

기술적 관점에서도 USD/CAD는 아직 하락세가 확정적이지 않습니다.
일간 차트의 오실레이터는 여전히 일부 상승 모멘텀을 보여주고 있어, 1.3760~1.3755 구간에서 강한 매도세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하락세 확신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만약 이 지지선이 무너지게 되면, 다음 주요 타겟은 1.3700과 1.3670, 그리고 1.3600 중반으로 하락 폭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더 하락할 경우, 6월 기록한 연중 저점인 1.3540 부근까지도 열려 있는 상황입니다.

반대로, 단기 반등이 이뤄질 경우 오버나이트 스윙 고점인 1.3800선과 1.3840 구간이 첫 저항선이 되며,
이를 상향 돌파할 경우 1.3880 영역까지 상승 가능성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USD/CAD, 방향성 결정 위한 추가 확인 필요

현재 USD/CAD는 다양한 상반된 요인들에 의해 명확한 방향성이 제한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원유 가격 반등과 미국 달러 약세는 하락 압력을 높이고 있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기술적 지표는 하방 확장에 제동을 걸고 있는 모습입니다.

환율의 다음 방향은 향후 발표될 미국과 캐나다의 경제 지표,
그리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리스크 확대 여부 등에 따라 결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단기적으로는 1.37601.3755 지지선과 1.38401.3880 저항선 사이의 박스권 움직임이 이어질 수 있으며,
이 구간 돌파 여부가 새로운 추세 전환의 시그널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25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6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5
메타가이드
2025-08-04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