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1개월 최고치 후 하락세…리스크 온 분위기 영향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금, 1개월 최고치 후 하락세…리스크 온 분위기 영향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7-23 17:52 289 0

본문

금, 1개월 최고치 후 하락세…리스크 온 분위기 영향


금 가격은 아시아장에서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후
유럽 장 초반에는 소폭 반등했으나,
전반적인 하락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미·일 무역 합의 소식이 투자자들의 위험 선호 심리를 자극하며
안전자산인 금에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국 달러 반등…금 가격에 하방 압력 가해


USD는 화요일 기록한 2주 최저치에서 반등 중이며,
이에 따라 XAU/USD 통화쌍의 매수세는 둔화되고 있습니다.
다만, 연준 금리 인하 시점과 속도에 대한 불확실성,
그리고 연준 독립성 논란은 USD 강세론을 제한하며
금 하락을 일정 부분 방어하고 있습니다.



트럼프發 무역 낙관론…금 수요에 단기적 약세 유도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과의 대규모 무역 합의를
소셜미디어를 통해 공식 발표했으며,
자동차·트럭·쌀 등 주요 품목 무역 개방을 언급했습니다.
이에 따른 리스크온 흐름은 안전자산 수요를 위축시켰고,
금은 화요일 아시아장에서 매도 흐름을 맞이했습니다.



연준 압박 발언 지속…금리 경로에 대한 우려 잔존


트럼프 대통령은 제롬 파월 의장의 사임을 촉구했고,
미 재무장관 역시 연준 운영에 대한 내부 재검토를 요구하며
연준 독립성 훼손 우려를 키웠습니다.
이러한 배경은 달러의 공격적 매수를 제약하고 있으며
금 가격의 급격한 하락을 방지하는 요인으로 작용 중입니다.



기술적 분석: 지지선은 매수 기회, 3,451달러가 주요 저항


금 가격은 이번 주 3,368~3,370달러의 수평 저항 돌파와
3,400달러 상향 돌파로 기술적 강세 신호를 보였습니다.
오실레이터는 상승세를 안정적으로 유지 중이며,
3,400달러 부근은 단기 조정 시 매수 기회로 간주됩니다.
다만, 반락 시 3,370달러가 첫 번째 주요 지지선입니다.



고점 돌파 여부 관건…3,452달러 상단이 핵심 저항


현재 아시아 고점인 3,4383,439달러는
7월 스윙 고점인 3,451
3,452달러를 앞두고
단기 매도 압력이 몰릴 수 있는 지점입니다.
이를 돌파하면 4월 고점인 3,500달러 테스트가 유력하며
사상 최고치 재도전의 발판이 마련될 전망입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3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7-24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2
메타가이드
2025-07-22
메타가이드
2025-07-22
메타가이드
2025-07-22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