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가격, 1개월 최고치 찍은 뒤 하락세… 위험 선호 회복과 USD 반등 영향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금 가격, 1개월 최고치 찍은 뒤 하락세… 위험 선호 회복과 USD 반등 영향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7-23 18:16 402 0

본문

1. 금값, 아시아 시장서 1개월 최고치 기록 후 하락 전환


XAU/USD는 수요일 아시아 장 초반,
6월 16일 이후 최고치인 3,439달러 부근까지 상승했으나
이후 하락세로 전환하며 3일 연속 상승 흐름을 멈췄습니다.
이는 글로벌 위험 선호 심리 회복과 달러의 완만한 반등에 따른 결과입니다.



2. 트럼프, 일본과 무역 합의 발표… 안전자산 수요 약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과 대규모 무역 합의를
공식 발표하며 글로벌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됐습니다.
일본은 미국에 15%의 상호 관세를 부과하고,
농산물과 자동차 시장을 개방하기로 했습니다.
이러한 소식은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를 약화시켜
금 가격을 압박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3. 달러의 반등과 연준 불확실성, 금 가격에 복합 영향


미국 달러는 화요일 2주 최저치에서 소폭 반등했고,
이는 금값에 단기적인 매도 압력을 가했습니다.
하지만 연준의 금리 인하 경로와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이 남아
USD 강세가 제한되면서 금 가격의 하락 폭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4. 정치적 리스크와 연준 독립성 우려, 하락 방어 요인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의 사임을 공개적으로 요구했고,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연준의 내부 검토를 재차 요청하며
연준의 정치적 독립성에 대한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이로 인해 달러 강세론자들의 적극적인 매수세가 제한되며
비수익성 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가 완전히 꺾이지 않았습니다.



5. 향후 경제지표 주목… 플래시 PMI에 민감 반응 예상


투자자들은 이날 북미 장에서 발표될
미국 기존주택 판매 지표와 글로벌 플래시 PMI 발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PMI는 위험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XAU/USD 가격 변동성에 중요한 트리거가 될 수 있습니다.



6. 기술적 분석: 3,400달러 지지 기대… 3,452달러 돌파 여부 주시


금 가격은 화요일 3,400달러 선을 돌파하면서
강세 구조를 확인했습니다.
현재 오실레이터는 안정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3,400달러 부근은 매수자들이 진입할 수 있는 지지 구간으로 보입니다.
반면, 3,4383,439달러는 단기 저항이며
7월 고점인 3,451
3,452달러 돌파 여부가
다음 방향성의 핵심이 될 것입니다.
이를 넘어서면 4월 고점인 3,500달러 재시험도 가능합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3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7-24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3
메타가이드
2025-07-22
메타가이드
2025-07-22
메타가이드
2025-07-22
메타가이드
2025-07-22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