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30일 | 토론토발] 원유 상승·무역 진전 기대감에 CAD 강세…USD/CAD 1.3670선 하락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2025년 6월 30일 | 토론토발] 원유 상승·무역 진전 기대감에 CAD 강세…USD/CAD 1.3670선 하락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6-30 17:06 312 0

본문

[2025년 6월 30일 | 토론토발] 원유 상승·무역 진전 기대감에 CAD 강세…USD/CAD 1.3670선 하락

월요일 아시아 시장에서 USD/CAD 환율은 1.3670선까지 하락하며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이는 원유 가격 강세캐나다 정부의 디지털 서비스세 철회 발표

호재성 재료에 힘입은 캐나다 달러(CAD)의 강세에 기인한다.




캐나다, 미국과의 협상 재개 발표…디지털세 철회로 무역 장벽 완화

전일 캐나다 재무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 진전을 위해 디지털 서비스세 제안 철회를 공식 발표했다.

마크 카니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7월 21일까지 협상을 재개하기로 합의했으며,

시장은 이를 무역 마찰 해소의 긍정적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WTI 상승세 지속…CAD에 긍정적 영향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현재 배럴당 64.70달러 부근에서 거래 중이다.

이는 캐나다의 주요 수출 품목인 원유 가격이 오름세를 보임에 따라

원자재 연동 통화인 캐나다 달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상황이다.

다만 OPEC+의 증산 계획과 중동 지역 공급 안정화에 대한 기대감은 유가 상승폭을 제한하고 있다.




미국 달러는 약세…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감 지속

미국 경제지표는 달러 약세를 지지하고 있다.

미국 5월 개인 지출은 0.1% 감소,

개인 소득은 0.4% 감소하면서 소비 둔화 신호를 보였다.

이는 연준이 조기 금리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을 높이는 재료로 작용하고 있다.

CME FedWatch에 따르면, 시장은 연준이 9월에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을

92% 이상 반영하고 있으며, 이는 달러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 중이다.




이번 주 고용지표 주목…정책 불확실성은 여전

투자자들의 시선은 **이번 주 후반 발표 예정인 미국 고용보고서(NFP)에 집중되고 있다.

6월 신규 고용은 11만 명 증가로 둔화가 예상되며,

실업률도 4.2%에서 4.3%로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연준이 더욱 완화적인 정책으로 전환할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기술적 분석: USD/CAD 단기 하락 압력…추가 조정 가능성도 존재

USD/CAD는 현재 1.3670선 부근에서 거래 중이며,

단기적으로 하락 압력이 우세한 구간이다.



구간지지선/저항선
주요 지지선1.3650 (단기 하단), 1.3625 (6월 저점)
주요 저항선1.3710 (단기 상단), 1.3755 (100일 EMA 부근)


14일 RSI는 48 근방에서 중립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단기 방향성은 고용지표 등 거시 변수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 CAD 강세 지속 가능성…무역·유가·고용지표가 핵심 변수



USD/CAD의 단기 향방은 캐나다-미국 무역협상 진전 여부, 국제 유가의 방향성,

그리고 미국 고용지표 결과에 달려 있다. 캐나다 달러는

이번 주 초반까지 강세 흐름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으며,

연준의 정책 전망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움직임이 예상된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37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7-07
메타가이드
2025-07-07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7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