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7월 1일 화요일] 인도 루피 강세, 연준 비둘기파 기조와 유가 하락이 주요 배경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2025년 7월 1일 화요일] 인도 루피 강세, 연준 비둘기파 기조와 유가 하락이 주요 배경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7-01 15:05 298 0

본문

[2025년 7월 1일 화요일] 인도 루피 강세, 연준 비둘기파 기조와 유가 하락이 주요 배경


화요일 유럽 시장 초반, 인도 루피(INR)는 미국 달러(USD) 대비 강세를 보이며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비둘기파적 스탠스와 함께 국제 유가 하락이 루피의 강세를 뒷받침하고 있다.

다만 미국 달러에 대한 수요가 다시 살아나면서 상승세는 일정 부분 제한될 가능성도 있다.

전일 발표된 미국 경제 지표에서는 개인 소비 및 소득 부문이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연준이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이러한 기조 속에서 미국 달러는 약세를 나타내며 신흥국 통화에 우호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인도 PMI 양호, 루피 강세 재확인

화요일 발표된 HSBC 인도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6월 기준 58.4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 수치와 동일하면서도 시장 기대치를 충족하는 결과로,

인도 제조업 경기가 확장 국면을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발표 이후 인도 루피는 상승세를 이어가며 외환시장에서 긍정적인 흐름을 형성했다.

원유 가격 하락도 인도 루피에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원유 수입국으로,

국제 유가 하락은 인도 무역수지 개선에 도움이 되며 루피 가치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다.



달러 수요와 자금 유입은 제한 요인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국 및 국내 은행들의 미국 달러 수요가 높아지면서 루피의 상승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

최근 인도 주식 및 채권시장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 자금은 2분기

기준 약 5억 달러 수준으로, 과거에 비해 다소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은 이날 예정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연설과 미국 ISM 제조업 PMI,

JOLTS 구인 공고 발표에 주목하고 있다. 해당 지표들은 향후

연준의 정책 방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 재정 및 통화정책 안정성도 루피에 긍정적

인도 정부는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위해 고위급 대표단을 워싱턴에 파견했으며,

트럼프 대통령과의 협의를 통해 남은 이견을 좁히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동시에 인도 재무부는 4월~5월 기준 재정적자가 회계연도 추정치 대비

0.8% 수준인 1,316억 루피(약 15억 달러)로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도 중앙은행(RBI)이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FSR)에서는, 인도의 거시경제

기초 체력이 견고하며 경제 성장은 지속 가능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는 루피의 펀더멘털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기술적 분석: USD/INR, 하락세 재개

기술적으로 USD/INR 환율은 10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을 하향 이탈하며

약세 전환 신호를 보이고 있다. 14일 상대강도지수(RSI)도 중립선 아래인

46.80 근처에서 유지되며 하방 압력을 시사한다.

하락 시 주요 지지선은 85.50이며, 이탈할 경우 5월 26일 저점인 84.78이

다음 목표선으로 작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은 84.25까지 열려 있다.

반면 반등할 경우 첫 번째 저항선은 100일 EMA인 85.67이며, 이를 돌파하면

6월 25일 고점인 86.13, 그 이후에는 6월 20일 고점인

86.79가 중요한 저항 영역으로 평가된다.



요약 및 향후 전망

인도 루피는 미국 연준의 비둘기파 스탠스와 원유 가격 하락,

인도 내 경제 지표 호조에 힘입어 강세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달러 수요 회복과 외국인 투자 자금 유입 둔화는 단기적인 부담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시장은 향후 미국 경제 지표와 파월 의장의 발언에 따라 환율 방향성이 정해질 것으로 보고 있으며,

USD/INR 환율은 기술적 지지선과 저항선 사이에서 좁은 범위의 변동을 이어갈 가능성이 있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37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7-07
메타가이드
2025-07-07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7-01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30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7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