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AU/USD 금값, 연준 매파 기조에 하락 전환…중동 긴장 고조 속 낙폭 제한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XAU/USD 금값, 연준 매파 기조에 하락 전환…중동 긴장 고조 속 낙폭 제한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6-19 18:29 321 0

본문

XAU/USD 금값, 연준 매파 기조에 하락 전환…중동 긴장 고조 속 낙폭 제한

목요일(현지시간) 금 가격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매파적 기조와 달러

강세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무역 불확실성은 하방 지지 요인으로 작용하며 낙폭을 제한했다.

XAU/USD는 유럽 장 초반 $3,345 부근까지 하락한 뒤 기술적 반등을 시도하며

$3,366~$3,367 선에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일주일 중 최저 수준으로,

이번 주 초 기록했던 거의 두 달 만의 고점에서의 되돌림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연준의 금리 동결과 매파적 스탠스, 달러 강세 촉진

수요일 연방준비제도는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했으나, 점도표상 2025년까지

두 차례 금리 인하만을 전망하며 시장 기대보다 보수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특히 19명의 위원 중 7명이 올해 금리 인하를 반대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매파적인 신호가 더욱 강화됐다.

이러한 정책 기조는 미국 달러를 지지하며, 금과 같은 비수익성 자산에

하방 압력을 가중시켰다. 실제로 미국 달러 지수(DXY)는 이번 주 3년 만의 최저치에서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정학 리스크와 무역 불확실성, 금값 하락 제한

이스라엘과 이란 간의 무력 충돌이 일주일째 이어지고 있으며,

미국이 개입할 수 있다는 전망까지 제기되면서 지정학적 불안이 고조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수요일 오후 국가안보팀과의 상황 회의에서

이란에 대한 대응을 논의했으며, 실제 군사적 개입 가능성도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이러한 긴장 고조는 글로벌 시장에 불안 심리를 확산시키며,

안전자산인 금에 대한 수요를 견조하게 유지시키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전 대통령이 예고한 제약 부문에 대한 신규 관세도

무역 불확실성을 확대시키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기술적 분석: 상승 추세선 지지선 확인

XAU/USD는 기술적으로 상승 추세 채널의 하단인 $3,345 부근에서 반등에 성공했다.

이는 단기 상승 추세가 여전히 유효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일봉 기준 오실레이터 지표 역시 긍정적 흐름을 유지하고 있어 매수세 유입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상방 저항선으로는 $3,400선이 우선적으로 작용하며,

해당 구간을 돌파할 경우 $3,434~$3,435선, 나아가

$3,451~$3,452 돌파 시 월요일 고점 및 사상 최고치인

$3,500선까지 추가 상승 여력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하방으로는 $3,345 추세 지지선이 붕괴될 경우

조정 국면이 확대되며 $3,300 중반대 이하로의 하락도 열려 있다.


결론

현재 금값은 펀더멘털과 기술적 요인이 엇갈리며 방향성을 모색 중이다.

연준의 매파적 메시지와 달러 반등은 금에 부담이 되지만,

지정학적 리스크와 무역 불확실성이 하방 지지 역할을 하고 있어

공격적인 매도보다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미국의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부재한 가운데,

향후 시장의 흐름은 달러 움직임과

지정학 리스크의 전개 양상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38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7
메타가이드
2025-06-20
메타가이드
2025-06-19
메타가이드
2025-06-19
메타가이드
2025-06-19
메타가이드
2025-06-19
메타가이드
2025-06-19
메타가이드
2025-06-19
메타가이드
2025-06-18
메타가이드
2025-06-16
메타가이드
2025-06-16
메타가이드
2025-06-16
메타가이드
2025-06-16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