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루피 약세…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와 유가 상승이 부담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인도 루피 약세…외국인 자금 이탈 우려와 유가 상승이 부담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5-23 17:17 360 0

본문

금요일 유럽 거래 초반, 인도 루피(INR)는 달러화 대비 약세를 보이며 하락세로 전환됐다.6f82d3e12eac634689ff2194d047ac37_1747988153_7916.png 

외국인 투자 자금의 유출 가능성과 국제 유가 상승이 인도 통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미국 달러 약세는 일부 완충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 주식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탈할 수 있다는 전망이 커지고 있으며,

최근 발표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인도중앙은행(RBI)의 금리 동결 혹은 인하 기대가 다시 부상했다.





이러한 흐름은 루피의 하방 압력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다만, 미국과 인도 간 무역협상 진전에 대한 기대와

미국 달러의 전반적인 약세는 루피에 단기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는 평가도 있다.

특히 투자자들은 이날 늦게 예정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주요 위원들의 발언에 주목하고 있다.

알베르토 무살렘, 제프 슈미트, 리사 쿡 등 Fed 인사들의 입장이 통화 시장의 방향성을 좌우할 가능성이 있다.


6f82d3e12eac634689ff2194d047ac37_1747988261_1853.png
 


지표는 긍정적..인도 경제 회복 흐름 유지

한편, 인도 내 경기지표는 여전히 긍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HSBC가 발표한 5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8.3을 기록해

전월의 58.2와 예상치였던 58.0을 모두 웃돌았다.

서비스업 PMI도 61.2로 상승하며, 종합 PMI 역시 61.2로 개선됐다.

이는 4월 수치인 59.7 대비 뚜렷한 상승이다.



HSBC의 인도 수석 이코노미스트 프란줄 반다리는

"4월 지표는 다소 둔화된 모습을 보였지만, 전반적인 제조업 생산 및

신규 주문은 여전히 견고하다"며, 단기적인 성장 모멘텀이 유지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인도 상무부 장관 피유시 고얄 역시 낙관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미국과 인도가 7월 이전에 양자 무역 협정의 1단계를 마무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 경제 지표도 기대 이상…그러나 달러는 여전히 약세

미국의 거시경제 지표도 이날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S&P 글로벌이 발표한 5월 종합 PMI는 52.1로 4월의 50.6에서 상승했으며,

제조업과 서비스업 PMI도 각각 52.3을 기록하며 강한 회복세를 보였다.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5월 17일 기준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22만 7천 건으로,

전주의 22만 9천 건보다 소폭 감소했다. 이는 시장 기대치인 23만 건보다 낮은 수준이다.

같은 기간 지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90만 3천 건으로 증가했다.



기술적 분석: USD/INR, 상승 재개 신호

기술적 관점에서 USD/INR은 100일 지수이동평균선(EMA)을 상향 돌파하며

상승 흐름을 재개하고 있다. 14일 상대강도지수(RSI)도 중립선 위에 머물며 추가 상승 가능성을 지지하고 있다.

단기 저항선은 5월 22일 고점인 86.10에 위치하며, 이 수준을 돌파할 경우

4월 10일 고점인 86.61까지 상승 여력이 열릴 수 있다.

반면, 하락 시 주요 지지선은 5월 20일 저점인 85.35이며, 이 수준을 하회할 경우

추가 하락 가능성이 커진다. 이어서 84.84와 추세 하단인 84.15 수준이 차례로 지지선 역할을 할 전망이다.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4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5-27
메타가이드
2025-05-27
메타가이드
2025-05-26
메타가이드
2025-05-26
메타가이드
2025-05-26
메타가이드
2025-05-26
메타가이드
2025-05-23
메타가이드
2025-05-23
메타가이드
2025-05-23
메타가이드
2025-05-23
메타가이드
2025-05-23
메타가이드
2025-05-22
메타가이드
2025-05-22
메타가이드
2025-05-22
메타가이드
2025-05-22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