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달러, 부진한 고용 지표와 달러 강세 속 약세 지속 > 경제뉴스

본문 바로가기

경제뉴스

호주 달러, 부진한 고용 지표와 달러 강세 속 약세 지속

profile_image
메타가이드
2025-09-19 11:40 406 0

본문

▸ 아시아 장 동향

금요일 아시아 거래에서 호주 달러(AUD)는 미국 달러(USD) 대비 소폭 하락하며 3일 연속 약세를 이어갔습니다.

목요일 발표된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예상보다 양호한 결과를 보이며

달러화가 지지를 받았고, 동시에 호주의 부진한 8월 고용 지표가 AUD에 부담을 주었습니다.


▸ 호주 고용 지표 영향

호주의 8월 계절조정 고용 변화는 -5.4K로 집계되며, 시장 예상치인 +22K에서 크게 빗나갔습니다.

이는 7월 26.5K(24.5K에서 수정) 증가에서 반전된 수치입니다. 한편, 실업률은 예상대로 4.2%를 유지했습니다.

  • 부진한 고용 지표 → 호주 달러 매도 압력 강화.

  • 다만, RBA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면서 급격한 하락은 제한적.


▸ 미국 달러 지지 요인

미국 달러 지수(DXY)는 목요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감소한 이후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231K → 예상치(240K)와 전주(264K) 모두 하회.

  • 계속 청구 건수: 1.92M으로 7K 감소.

이에 따라 연준(Fed)의 완화적 정책 기조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으로 달러화는 지지력을 확보했습니다.


▸ 중앙은행 정책 전망

  • 연준(Fed): 25bp 인하(첫 인하), 연말까지 50bp 추가 완화 시사.

    • 파월 의장: 노동 시장 약세를 배경으로 "위험 관리 차원"의 인하 결정.

  • 호주중앙은행(RBA): 인플레이션 목표 근접, 추가 인하 가능성 제한.

    • 9월 금리 인하 가능성: 20%.

    • 11월 인하 가능성: 70%.


▸ 기술적 분석

  • 현재가: AUD/USD 0.6610 부근.

  • 단기 모멘텀: 9일 EMA(0.6623) 아래에서 약세 전환.

  • 지지선:

    • 0.6600 → 상승 채널 하단.

    • 하향 돌파 시 50일 EMA(0.6546) 테스트 가능.

  • 저항선:

    • 0.6623 (9일 EMA).

    • 상향 돌파 시 0.6707 (11개월 최고치) → 0.6720 채널 상단 도달 가능.

댓글 작성은 로그인 후 이용가능합니다.

로그인
전체 802 건 - 7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메타가이드
2025-09-22
메타가이드
2025-09-22
메타가이드
2025-09-22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9
메타가이드
2025-09-18
메타가이드
2025-09-18
메타가이드
2025-09-18
메타가이드
2025-09-18
게시판 전체검색